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T HCN

  • 로그인
  • 회원가입
  • 회사소개
  • ENGLISH

이용자 피해예방

이용자 보호를 위해 정보를 전해드립니다

[개인정보보호] 파일암호화 악성코드 유포 주의 안내

등록일 2015.04.24    조회수 1028

 

지난 4월21일 국내 유명 커뮤니티 사이트인 클리앙을 통한 랜섬웨어 클립토락커(Crypt0L0cker) 유포가 확인되어 인터넷 서비스 이용고객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랜섬웨어란?

   납치된 사람에 대한 몸값을 뜻하는 영어 'Ransom'과 'Software'의 합성어로,

   사용자 PC 혹은 PC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파일을 모두 암호화시켜 놓고 금전

   (돈/비트코인)을 요구하는 악성코드 

 

유포된 랜섬웨어는 기존에 이메일 다운로드 방식이 아닌 단순 홈페이지 접속만으로도 간염 될 수 있다는 점과 컴퓨터에 있는 준요 문서파일, 이미지파일, 압축파일 등을 암호화하여 암호화 해제 시 금전을 요구한다는 점으로 기존과 비교하였을 경우 그 파급력이 매우 큽니다.

 

 

▶ 랜섬웨어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 방법

 

 1. 윈도우OS 보안업데이트를 최신으로 업데이트 하기

     - MS는 매월 둘째 주 화요일 보안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위험의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경우, 비정기적으로 임시 보안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업데이트는 이미 알려진 취약점에 대하여 패치를 진행하는 것으로, 이용자

       여러분들께서는 되도록 윈도우 보안업데이트를 최신 버전으로 유지해 주셔야 합니다.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는 [제어판] → [Windows Update(윈도우7 기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V3 수동 검사하기

     - 현재 공개된 랜섬웨어에 대해서는 V3 보안 패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수동 검사를 실시

        하여 사용중인 PC에 감염된 내역이 없는지 점검하고 치료하여 추가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중요한 파일들은 백업해 놓는 습관 기르기

     - 현재까지 랜섬웨어에 의해 암호화된 파일을 완벽히 복원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따라서

        감염됐을 시 미리 백업해둔 파일을 이용해 파일을 복원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중요한 파일(행사 및 가족사진, 시간표 및 가계부 등 엑셀파일 등)은 다시 복원할 수

        있도록 항상 별도 백업(CD레코딩, 외장하드 복사본 만들기 등)을 해두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 최신으로 업데이트하기

     - 금번 랜섬웨어 악성코드 유포는 여러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감염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인터넷 사용 시 사용되는 Adobe Flash Player,

        Internet Explorer, Java 등의 프로그램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5. 중요파일 권한 변경

     - 랜섬웨어로 인해 암호화되는 파일에는 읽기/쓰기 권한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사용자가 임의로 중요 파일에 대한 쓰기 권한을 제거한 후 읽기권한만 부여한다면,

        랜섬웨어에 감염되어도 파일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파일 우클릭 → [속성] → [읽기전용] 체크를 통해 파일 권한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앞에서 언급된 내용은 당사 이용자의 악성코드 피해를 예방하는 일반적인 수준의

정보입니다. 또한 정품 MS Windows운영체제 사용 고객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설정 및 화면구성이 다른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kt HCN은 건강한 인터넷 문화가 정착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로딩중...
로딩중...
로딩중...
로딩중...
로딩중...